-
동지, 팥죽 먹는날의 유래. 한국의 할로윈데이(12월 22일)카테고리 없음 2021. 12. 22. 13:40반응형
동지는 1년 중 밤이 가장 긴 날로 예로부터 밤에는 귀신이 돌아다닌다 생각하여 액운을 막는 팥을 요리해 팥죽을 쑤어 먹었던 날입니다. 그래서 어쩌면 동지날을 한국의 할로윈데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2021년 동지는 12월 22일 입니다.
동지, 팥죽 먹는날의 유래. 동지팥죽 먹는 이유
동짓날은 설날 다음의 작은설로 간주되어 음기가 쇠하고, 양기가 새로 생기는 날로 여겨 새로운 시작의 날로 지내왔다고 합니다. 작은설인 동지에 주로 팥시루떡과 팥죽을 만들어 먹어 잡귀와 액운을 쫓고, 양기를 북돋웠으며 팥죽을 먹어야 진짜 1살을 더 먹는다고 여겨왔다 합니다.
팥죽과 팥시루떡 등 팥이 들어간 음식은 예로부터 좋은날에 그리고 나쁜일이 있을 때에 팥죽, 팥밥, 팥떡을 해서 먹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지금도 이러한 풍습이 이어져 고사를 지낼 때 팥떡을 해서 고사상에 올려 고사를 지내곤 합니다. 고사의 목적은 사업하는 사람은 사업이 번성하기를 기원하고, 공사를 하는 사람은 공사가 아무런 사고 없이 완공되기를 기원하는 것인데, 이처럼 팥이 들어가는 음식은 소원을 이루어준다고 믿어왔습니다.
또 이날은 동지부적(冬至符籍)이라 하여 뱀 ‘사(蛇)’자를 써서 거꾸로 붙여 잡귀를 막는 속신(俗信)이 있으며, 팥죽을 쑤어먹지 않으면 쉬이 늙고 잔병이 생기며 잡귀가 성행한다는 미신이 있기에 동지날에는 꼭 팥죽을 챙겨 먹어왔다합니다. 밤이 길어 가장 추워야하는 동짓날에 날씨가 온화하면 이듬해에 질병이 많아 사람이 많이 죽는다고 여겨왔으며,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워야 풍년이 들 징조라고 여겼습니다. 또 동짓날이 추우면 해충이 적어 병충해 없이 농사를 지어 풍년이 들거라 여겼습니다.
팥죽 만드는 법
- 깨끗히 하룻밤 불려둔 팥을 물 2리터를 넣고 중약불에 40~50분을 끓이다(바닥이 눌어 붙지 않게 중간중간 저어줌)
- 물이 졸아들면 1.5리터~2리터 정도의 끓인 물을 더 붓고, 1작은술 정도의 소금을 넣고 30분 정도 더 끓인다음
- 팥을 꺼내 손가락으로 눌러 쉽게 으스러지면 체에 받쳐 팥을 믹서기에 껍질이 안보일정도로 곱게 갈아 줍니다 쉽게 갈기 위해서 물을 1리터 가량 부어서 갈아줍니다(팥을 끓인 물은 버리지 않음)
- 만약 팥이 으스러지지 않으면 20분 정도 더 끓여줍니다 물이 부족하면 마찬가지로 끓인물을 더 보충해서 끓여줍니다
- 곱게 간 팥을 냄비에 넣고, 만들어 둔 새알을 넣고 새알이 떠오르고, 새알의 크기가 커지면서 통통해지면 새알이 익었다는 거니까
- 팥 끓였던 물에 맵쌀 가루를 섞어 부으며 팥죽에 점도를 맞추며 끓입니다.
- 설탕은 팥죽에 직접 넣지 않고, 그릇에 덜어 먹을 때 기호에 맞게 넣어줘야 합니다.
새알 만드는 법
- 팥죽에 넣어 먹을 만큼의 양의 찹쌀가루를 준비합니다
- 찹쌀가루에 따뜻한 물을 부어 익반죽을 해야합니다
- 물을 조금씩 부어 날가루가 날리지 않을 정도로 해야하는데 이때 물이 너무 많이 들어가 질게되면 새알을 빚기 어렵습니다
- 반죽의 표면이 매끈해지도록 치대며 한 덩어리로 만들어지면 길게 가래떡 모양으로 굴려서 칼로 잘라
- 손으로 둥글게 빚어 새알을 만듭니다
타다 넥스트 50% 쿠폰 후기(현대 스타리아)
타다 넥스트는 타다에서 새로 시작한 대형 택시 서비스입니다. 타다 넥스트를 부르면 현대자동차의 스타리아가 오게 되는데, 스타리아 자동차를 처음타보는거라 굉장히 기대가 되었습니다. 퇴
rosieroda.tistory.com
기가지니 음성인식으로 쇼핑하기 '삼다수' 생수 주문하기
KT 기가지니 스피커로 쇼핑을 할 수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이번에 처음으로 기가지니 인공지능 스피커 음성 주문으로 삼다수를 주문해보았습니다. 기가지니 삼다수 주문해줘 말로 편하게 주
rosieroda.tistory.com
안구건조증 만렙의 온열 안대 1년 찐사용 리뷰 : 오아 굿나잇 온열 안대
몇 년 전부터 눈을 감았다 떴다 할 때 뻑뻑해지면서 안구건조증이 생겼는데, 해가 지날수록 눈이 점점 더 건조해지더라고요. 인공눈물을 달고 살다가 눈을 따뜻하게 찜질하면 조금 덜 피곤할 것
rosieroda.tistory.com
728x90반응형